침향 효능
조선시대부터 자양강장제로서 유명하여 역대 왕들이 먹은 것 '침향' 그 효능이 현재도 많은 분들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침향이란 적게는 수백년에서 많게는 수천 년간 천연으로 분비된 침향나무의 수지입니다. 침향나무가 본인에게 난 상처를 스스로 치유하기 위해서 만들어낸 수지죠. 귀한 약재 중에서도 손꼽히기 때문에 한 그루의 침향나무에서도 소량만 나옵니다.
침향 효능은 바로 이런 배경 속에서 널리 알려졌습니다. 동남아 열대 지역의 침향나무에서소량만 얻을 수 있는 약재라는 배경 속에서 말이죠. 동의보감에서 침향은 이렇게 적혀져 있습니다. '찬바람으로 마비된 증상, 구토, 설사, 팔다리 쥐가 나는 것을 고쳐준다.'고 말이쟈. 현대에 들어서 그 효능이 알려진 것은 바로 뇌졸중 예방입니다.
뇌졸중과 침향



침향 효능 중에서는 뇌졸중 예방과 같은 뇌기능 활성화가 있습니다. 국내에서 단일 질환으로는 사망하는 원인 1위에 이르는 아주 무서운 질환이죠. 뇌졸중 전조증상이 있을 때 골든타임안에 병원에 가지 않으면 중풍에 이르러 몸이 마비되고, 심하면 목숨까지 잃을 수 있는 매우 무섭고 안타까운 병입니다. 평소에 꾸준히 관리를 해주어야 하는 질환이죠.



침향 효능 중 하나인 뇌졸중은 2018년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에서 질병 사망원인 4위를 차지하기 했습니다. 뇌졸중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고혈압과, 심장질환, 흡연, 과음, 당뇨 등등 위험요인이 너무나도 많죠. 평소에 건강관리를 하지 않으면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과 같은 것입니다. 침향은 신체의 상하 기운 소통 및 담음, 어혈방지 작용으로 뇌졸중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특유의 향과 호르몬 조절




침향 효능으로 알려진 것중에 하나는 그 특유의 높고 은은한 향입니다. 예로부터 침향의 향은 귀한 향으로 여겨져왔죠. 이런 것 때문에 세계 3대 향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며, 독특한 향은 향균작용이 있습니다. 참고라 향이 강한 약재들은 '향'이라는 이름이 붙는다고 합니다. 사향, 목단향, 안식향 등이 그것이죠.



침향 효능과 향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향이 강한 약재들은 후각을 통하여 뇌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정확히는 뇌 변연계 쪽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호르몬 조절 및 감정 조절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이와 더불어 향으로 인하여 각성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머리가 맑아지는 효과를 보기도 해서 공부할 때 집중을 하는데 도움이 되기도 하죠.
소화기능 및 기관지 건강



침향 효능으로 다시 한 번 동의보감을 언급해보겠습니다. 침향에 대해서 동의보감에서는 '성질이 뜨겁고 매운 맛과 독은 없다. 나쁜 기운을 없앴다. 명치 끝이 아프면 그것을 멎게 해준다. 정신을 편안하게 한다. 토하고 설사를 하는데 도움을 준다.' 라고 적혀있기도 합니다. '침향의 기운이 위로는 머리의 끝까지 아래로는 발 끝까지 가서 다른 약제의 기운을 보조해준다.'라고도 하였죠.




침향 효능은 동의보감에서 말하듯이 침향은 평소에 몸이 차거나, 무릎이 시린 분들에게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복통이 있어서 헛배가 부르고 배가 아프거나, 숨이 차거나 기관지 천식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침향 자체가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우리 몸의 기운을 순환하게 촉진시켜주는 약재이기 때문이죠.
침향 특징




침향 효능을 지금까지 알아보았는데요. 아열대의 우림지대에서만 나오는 침향은 '물 속에 가라앉는 향나무'라는 의미입니다. 고대부터 매우 귀한 약재로서 사용되어 왔는데, 그 향 때문에 방부효과가 있는 향료로서도 사용되어 왔다고 합니다. 그 향 때문에 침향을 재료로 장식품 또는 염주를 만들어 파는 경우도 있습니다. 은은한 향이 정신을 맑게 해준다고 합니다.


침향 효능이 모두 다 같은 것은 아닙니다. 침향도 품질에 따라서 효능이 다릅니다. 그 품질은 수지 함유량에 따라서 다릅니다. 위에서 침향이라는 의미가 '물에 가라앉는 향나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수지 함유량이 많을수록 물에 가라앉고, 함유량이 낮으면 물에 뜹니다. 또한 침향을 태울 때 향이 진할수록 좋은 상품이며, 색깔이 녹자색일수록 좋은 상품이라고 합니다.
침향 부작용



침향 효능에 대해서 지금까지 알아보았는데요. 그렇다면 침향의 부작용은 없을까요? 침향은 양기가 왕성한 사람에게는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체질로서는 소음인에게 효과가 좋은 약재라고 하네요. 평소에 얼굴에 열이 많거나, 얼굴 색이 빨간 양기가 왕성한 사람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침향 효능을 알아보고 침향 복용을 알아보신다면 어떤 식으로 침향을 먹는지도 살펴보셔야죠? 침향은 탕약에 갈아서 먹기도 하며, 가루약, 알약으로 먹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침향환 효능이 알려져 침향환 형태로 나오기도 합니다. 하루 권장량은 0.3g 이며 한 번 먹을 때 0.1~0.2g 정도가 적당합니다.
'건강.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변이 나오는 이유? (0) | 2020.03.30 |
---|---|
목디스크 증상? (0) | 2020.03.27 |
폴리코사놀의 효능? (0) | 2020.03.19 |
흑염소 효능? (1) | 2020.03.14 |
두드러기 원인? (0) | 202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