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

퇴직금 계산방법?

반응형

퇴직금 계산방법

직장을 그만두었을 경우, 즉 우리가 직장으로부터 퇴사를 할 경우 회사로부터 받는 급이인 퇴직금.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에 의해서 보장받는 급여입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꼼수로 퇴직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고용노동부에 신고를 하면 되기는 하지만 여간 귀찮고 짜증나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퇴직금 계산방법에 대해서 잘 알아야 되는 이유도 근로자로서 퇴직금은 법으로 정해진 급여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과거에 퇴직금과 관련하여 몇몇 일들이 있었습니다. 어떤 기업에서는 아르바이트생 계약기간을 10개월로만 하고 계약기간이 만료가 되면 강제 퇴사 후에 2~3개월 이후 재입사를 시키는 등으로 퇴직금을 주지 않기 위해서 교묘히 법망을 피하려는 꼼수를 쓰기도 하였죠.

퇴직금 지급기준

012

퇴직금 계산방법에 앞서 그 지급기준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8조 1항, 제2호제4호 및 '근로기주법' 제2조제1하제6조,제2항에 따르면 "고용주는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해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해야 합니다."라고 적혀있습니다.

01

즉, 퇴직금 지급기준은 1년 이상 일한 근로자에게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한주의 평균 근로시간으로 따지자면 15시간 이상인 상태로 1년 이상 근로한 사람이어야 하며, 만 1년이 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 퇴직금 계산방법과 관련하여 '평균임금'은 "산정해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의 이전 3개월 동안 해당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조금 복잡하죠?

통상임금 퇴직금 계산방법

012

퇴직금 계산방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퇴직금 산정공식은 '[(1일 평균임금× 30일) × 총 계속근로기간] ÷ 365' 입니다. 이렇게 보면 굉장히 간단해 보이는데, 사실 일반 직장인의 경우에는 1일 평균임금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3개월간의 임금 총액에 상여금 가산액, 그리고 연차수당 가산액을 알아야 합니다.

01

퇴직금 계산방법과 관련하여 아직 개정된 법에 대해서 모르시는 분들이 있을가봐 말씀드리자과거에는 4인 이하 사업장에서는 퇴직금이 예외였지만 2010년 10월에 개정되어 1인 사업장에게도 퇴직금 지급이 강제되었으며, 2013년 1월부터는 퇴직금을 100% 받게끔 법령이 개정되었습니다. 또한 프리랜서 계약하여 일을 하여도 1년 이상 일반 노동자처럼 일했으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 계산기

012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퇴직금 계산방법은 직접 계산하기에는 조금 복잡한 감이 없지않아 있습니다. 상세한 내용을 알고 있다면 못할 것도 없지만 말이죠. 하지만 내 퇴직금이 잘 들어왔는지 확인을 하기 위해서는 퇴사 전 한번쯤은 퇴직금을 직접 계산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그 중에서 가장 추천드리는 방법이 바로 '퇴직금 계산기'입니다.

01

포탈사이트에서 '고용노동부 퇴직금계산기'라고 검색을 하시면 퇴직금 계산방법봐 함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퇴직금 계산기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산기를 사용한다고 뚝딱 해주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몇 가지 자료가 있습니다. 입사일자와 퇴직일자, 퇴직전 3개월 임금 계산 총액 계산을 위한 기간별 근무일수, 기본급, 기타수당, 연간상여금 총액, 연차 수당등 입니다. 여기서 1일 평균임금보다 1일 통상임금이 클 경우 1일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퇴직금이 계산되죠.

퇴직금 지급기한

012

퇴직금 계산방법과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퇴직금 지급기한은 지급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금해야 합니다. 만약 14일 이내에 받지 못한다면 회사에 요청을 하시면 됩니다. 특별한 사정이 있어서 지급기일이 연장될 수 있도록 회사와 협의도 가능합니다. 그런데 퇴직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경우는 어떨까요?

01

퇴직금 계산방법으로 퇴직금을 받을 생각을 하고 있는데, 지급을 받지 못하는 경우, 근로자 퇴직금여 보장법 제44조제1호에 의하여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은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사업장을 관할하는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임금체불 신고를 하거나 대한법률구조공단에 무료법률구조를 받아서 민사소송 제기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년연장 몇년생부터?  (0) 2020.07.27
창업자금 정부지원금 종류?  (0) 2020.07.20
벽지 곰팡이 제거법?  (0) 2020.07.13
캠핑 음식 추천?  (0) 2020.07.11
임금체불 신고방법?  (0) 2020.07.10